![](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3/23/20110323000079_0.jpg)
농촌진흥청 정광용 농업과학원장이 23일 국립농업과학원 내에 신축한 빌딩형 식물공장 개관식을 갖고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한 당찬 포부다.
정광용 원장은 '식물공장'에 대해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환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지역, 기후조건에 상관없이 연중 자동생산할 수 있는 ‘식물공장’은 미래 생명산업을 이끌 차세대 농업 생산기반"이라며 "‘식물공장’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상기후, 인구증가, 농경지 감소 등에 따른 식량난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 식물공장은 사막·극한·고립 지역 등 식물재배가 불가능 했던 곳에서 안정적인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단위 면적당 수량성도 높다.
이번 식물공장 건립에 △에너지 공급을 위한 지열히트펌프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설치 △재배환경기술로 양액공급 및 원격 환경제어 기술 접목 △인공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LED) 및 고효율 형광등이 사용되는 등 최첨단 기술이 투입됐다.
![]() |
농촌진흥청이 23일 국립농업과학원 내에 신축 개관한 '식물공장'에서 연중 농산물을 생산재배할 수 있는 내부시설 모습. |
정 원장은 "교육·체험·관광 등의 공간으로도 활용가치가 높다"며 "주말에 가족단위로 한강이 보이는 30층짜리 고층빌딩에서 쇼핑도 하고 식물공장에서 자연과 함께 편안한 휴식을 취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세계적인 농업의 변화 추세 속에 '우리나라 농업이 지향해야 할 모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인터뷰 영상 1부]
정 원장은 "한국 농업은 농가호당 영농규모가 작은 소농 구조로 농가수 감소, 농가소득 및 생산액 정체 등 농업 위상이 약화되고 있다"면서도 "FTA 체결 등 개방 확대로 위협요인이 있으나 우리 농업은 어려움을 기회로 살릴 수 있는 저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입개방으로 심각한 타격이 우려됐던 과수·축산 부문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경쟁력있는 고소득 농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실제 중심 경영층인 40~60대의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 가구와 소득격차가 크지 않아 성공적인 경영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을 이었다.
[인터뷰 영상 2부]
이어 그는 "연간 매출 1억원 이상인 농업인도 2만명이 넘는다"며 "오는 2015년까지 농업경영체 등 조직화 하는 과정을 거쳐 10만 강소농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작은 농업의 장점을 살린 고부가가치 농업에 대한 기회가 확대돼 새 희망이 되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정 원장은 "소비자는 안심·안전·신뢰 등 고품질 안전성과 양질의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농업이 단순 식품생산 기능에서 애완동식물·신소재·기능성식품 등 소농의 강점을 살린 고부가가치 농업에 대한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로필] 정광용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장
△1955년 충북 진천 △충북대 농학사 △충북대 농학박사 △농업기술연구소 토양화학연구 △농업기술연구소 농화학과 △농촌진흥청 연구기획과장 △농촌진흥청 평가기획단장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원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