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값 '승승장구' 3 달러 벽 깼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21 11: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심리적 지지선 파운드당 3 달러 돌파<br/>작황부진에 투기자금 유입…"더 올를 것"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커피원두 가격이 34년여 만에 심리적 지지선인 파운드당 3 달러선을 돌파했다. 작황부진으로 공급이 달리는 상황에서 커피가 틈새 투자상품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전날 미국 뉴욕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7월 인도분 아라비카원두 선물은 장 중 한때 3.0250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977년 파운드당 3.40 달러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이로써 아라비카원두 가격은 올 들어서만 23.6%, 2010년 1월 이후에는 117.2% 급등했다.

몰론 소매가격도 뛰었다. 세계적인 커피 브랜드 폴저스를 보유한 미국 식품업체 JM스머커는 지난해 커피가격을 세 차례 인상했다. JM스머커는 커피 도매가격이 내리지 않는 한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커피가격 상승세는 한동안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지금까지 커피가격 급등세는 과거에 네 차례 있었다. 1975~77, 1985~86, 1994, 1997년 주요 산지인 브라질에 서리가 덮친 결과였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번 랠리는 과거와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작황이 부진한 지역이 브라질에서 콜롬비아, 멕시코 등지로 확대됐다. 콜롬비아 커피생산자협회는 올해 아라비카원두 생산량이 예년의 1100만~1200만백(1백은 60kg)보다 10% 가까이 줄어든 950만백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장에서는 콜롬비아의 커피 생산량이 이보다 적은 850만~900만백에 불과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멕시코를 비롯한 중앙아메리카 국가들도 올해 이상 저온으로 커피 흉작을 우려하고 있다. 세계 최대 커피산지인 브라질의 중간 등급 커피원두 생산량 역시 예상치에 못 미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재고도 넉넉지 않다. 국제커피협회(ICO)는 현재 전 세계 커피원두 재고는 50년래 가장 적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커피시장의 가격인상 압박이 심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커피시장에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 투가자금도 커피값을 띄어 올리고 있다. FT는 일각에서는 투기세력이 이익을 실현하고 나면 커피시장이 급격한 조정을 겪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불거지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