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서 삼국지 기행3-허베이편> 3-2 전설의 나무 “장씨네 고목나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06 13: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전설의 '장씨네 고목나무'


(아주경제 배인선·김현철 기자) “관우가 말 맸던 곳에 세워진 가게는 장사도 잘돼요.”
 
유비는 황건적을 토벌한 공으로 말단관직인 안희(安喜)현 현령에 임명된다.
 
지금은 바오딩시 딩저우(定州) 행정구역으로 편입된 안희현은 선조 중산정왕 유승의 묘가 자리잡고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역사서 삼국지 저자 진수는 바로 이곳에서 공무 차 나온 독우(당시의 감찰사에 해당)가 뇌물을 요구하며 횡포를 부리자 화가 난 유비(소설 삼국지연의에는 장비)가 그를 나무에 묶고 채찍질 한 뒤에 관직을 관두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취재진은 청렴결백한 유비의 발자취를 직접 확인코자 그 정확한 위치를 수소문해 알아 보았으나 그 흔적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아쉬움에 발길을 돌리려던 차 우연한 기회에 마을 주민들로부터 근방에 당시 황건적의 수장 장각과 관우에 얽힌 고사가 전해져 내려오는 한 고목 나무가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직접 확인하러 나섰다.
 
 


 
후한 말기 수많은 백성들이 굶주림과 역병으로 죽어갈 때 장각은 이곳을 찾아와 돈이나 사례도 받지 않고 공짜로 의술을 행해 백성들을 치료하면서 백성들로부터 민심을 얻었다.
 
장각은 백성들에게 “태평도(太平道)를 믿으면 누구든지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전파했으니 태평도의 신도들은 나날이 늘어갔다. 이후 장각은 태평도를 멀리 퍼뜨려 민심을 모으고 황건적의 난을 일으켰지만 결국 조조가 이끄는 정부군에 의해 진압된다.
 
딩저우 현지 주민인 장원윈(張文云)은 “장각이 당시 이곳에 머물며 의술을 행할 당시 바로 장씨 성을 가진 한 지방 지주의 저택에 머물렀는데 장각이 떠날 때 아쉬워한 장씨네 일가에서 대문 앞에 나무를 심었다”며 “그 나무는 유난히 빨리 자라 몇 년도 채 안돼 나무 그늘이 장씨네 일가 저택을 덮을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몇 년 뒤 관우가 군사를 이끌고 이곳 마을에서 훈련 차 잠시 쉬어가던 도중 이 장씨네 대문 앞의 커다란 나무에 말을 매어두려 했다. 그러나 갑자기 말이 나무를 말발굽으로 걷어차고 나무껍질을 입으로 갈기갈기 벗겨놓으며 사방으로 날뛰더니 저 멀리 달아나 버리는 것이 아닌가.
 
이에 대해 후대 사람들은 황건적의 난을 진압하는데 앞장섰던 관우의 말이 어찌 황건적의 수장인 장각을 기리기 위해 심은 나무에 매어있었을 수 있겠느냐는 얘기를 지어내 이 일화을 후세에 전한것으로 알려졌다.
 
천여 년의 세월을 간직한 이 고목나무가 내뿜는 끈질긴 생명력 때문일까. 도로변에 죽 늘어선 다른 나무와 달리 크고 웅장해 번잡한 시장골목 안에서도 눈에 확 띄었다. 5층 건물만한 높이에 사람 세 명이 에워싸야 그 둘레를 족히 채울 만큼의 크기와 위엄을 자랑하고 멀리서 바라보아도 그 풍채가 남다르고 신묘한 기품이 뿜어져 나오는 듯 했다.
 
 
도로변에 죽 늘어선 다른 나무와 달리 크고 웅장함을 자랑하는 천여 년의 세월을 간직한 고목나무.

 
가까이 가서 들여다보니 관우의 말이 난동을 피워 곳곳에 생채기가 생겼다는 전설이 사실이 듯 실제로 여기 저기 커다랗게 자국이 패여있었다.
 
장씨는 “아직도 나무 옆에 장씨네 후손의 가게가 있다”며 “이 고목의 유명세 덕분인지 다른 곳에 비해 장사도 곱절로 잘 된다”고 자랑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