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지역 성장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사업이다. 부산, 대구, 광주 전남, 울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경남, 제주 등 총 10곳이며 조성 완료시기는 오는 2012년으로 예정됐다.
1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은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른 통폐합 등을 거쳐 총 159개에서 147개로 조정됐다. 이중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은 세종시(16개), 개별 이전(18개)를 제외한 총 113개다.
각 기관의 지방 이전계획은 지난달말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대구 혁신도시로 일괄 이전하기로 결정되며 모두 승인이 완료됐다.
이전 계획이 세워지면서 혁신도시에서 신청사 착공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12일 전북 혁신도시에서 착공에 들어간 대한지적공사를 비롯해 국토해양인재개발원(제주), 국립해양조사원(부산) 등 20개의 신청사가 공사를 시작했다. 다음달 2일에는 한국전력도 광주전남 혁신도시에서 착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전할 공공기관을 맞기 위한 부지조성도 순조롭다.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의 9월말 기준 혁신도시 조성사업 추진현황을 살펴보면 혁신도시의 평균 부지공사 진행률은 71.8%(이전부지 9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42개로 나눠진 공구 중 부산 동삼·센텀·대연지구와 울산 1공구, 경남 5공구 등 다섯 공구는 이미 공사가 100% 완료됐다.
한편,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향후 지방으로 이주하게 되는 기관 종사자들의 주거안정 문제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추진단 관계자는 “혁신도시 내 주택 50% 이상을 종사자들에게 공급하기로 했으며 조성완료 시기에 맞춰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