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무단 점유 사례는 지난 1970년대 새마을사업을 추진할 때 굽은 길을 직선화하면서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부지에 국유지가 포함돼 불법 건축물로 분류된 경우 바닥 면적의 2배까지 매입해 불법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제도의 적용대상을 1989년 1월24일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에서 이후 지어진 건물까지 확대토록 권고했다.
이외에도 국가와 지자체로 각각 귀속되는 국유지 사용료 납부 고지서도 통합 발부해 수납하게 하고 국유지 매입의 우선순위 기준 마련과 제한입찰시 고정된 국유지 매각 기준가격을 탄력적으로 운용 하도록 했다.
국유지가 재개발 구역에 포함돼 공시지가가 상승할 경우 변상금 액수도 오르는점을 고려, 상한선 마련과 같은 변상금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할 것도 촉구했다.
이밖에도 특정업체가 지자체와 장기 수의계약을 통해 긴급 수도 복구공사를 독점하는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코자 시ㆍ군 조례에 있는 긴급 수도 복구공사 대행업체의 계약기간 연장 및 갱신 조항을 삭제하도록 161개 시ㆍ군에 권고했다.
한편 지자체와 긴급 수도공사 대행업체와의 장기 수의계약을 금지해 신규 업체의 진입 장벽을 완화하고 경쟁 체제를 도입토록 권고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15개 시ㆍ군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 특정업체와 장기간 대행 계약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공무원과의 유착 및 부패 발생 소지가 있었고 대부분 기간 연장을 통해 대행업 재허가를 받고 있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