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 6일 발생한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정전사태로 이 일대 유화업체들이 수백억원대의 재산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전에 쏠리던 곱지 않던 시선이 더욱 싸늘하게 변하고 있다.
이번 정전사태는 산업체와 교육용 등 전기요금을 평균 4.5%(연간 9.4%)까지 올린 뒤 벌어진 일이다. 여론악화를 무릅쓰고 30년만에 처음으로 단행된 한해 두번의 전기요금 인상은 3년여간 이어져 온 한전의 적자행진에 마침표를 찍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
전임 김쌍수 사장이 전기요금 현실화 지연에 따른 주주가치 감소로 소액주주들로부터 수조원대에 달하는 손해배상소송을 당하는 아픔을 겪은 한전은 이번 정전 사태로 순익감소가 불가피해졌다. 당장 피해업체들의 보상 주문이 밀려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기요금 현실화를 명분으로 취임과 동시에 인상요구를 관철시킨 김중겸 사장의 뚝심이 이번 정전사태로 계속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전력주무부처인 지경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사상초유의 '9·15 정전사태'로 장·차관들이 교체되는 아픔을 겪은 지경부는 엎친데 덮친격으로 이번 정전사태가 불거지면서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일 취임한 조석 2차관이 조직의 기강다잡기에 나서겠다며 지경부의 긴장을 주문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에너지라인 전반에 대한 체질개선이 당면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지경부는 이날 전력거래소,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연구원 등 전기분야 전문가들로 정부합동점검반을 꾸려 정전이 발생한 울산단지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점검반은 현장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과 피해규모, 이에 따른 한전측의 피해보상방안 등을 강구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