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남북관계 재정립 고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2-23 00: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6자회담 재개방향 조율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이 북핵 6자회담 재개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고 있다. <관련기사 4면>

미국과 중국이 적극적으로 북한과의 접촉을 시도하면서 북한도 김 위원장의 ‘유훈’에 따라 대북 식량지원과 비핵화를 위한 대화 테이블에 나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6자회담 당사국들은 6자회담 재개 흐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동시에 나아가 이니셔티브를 선점하기 위한 외교전을 펼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남북관계 재정립을 위해 22일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서둘러 중국 베이징에 파견했다.

임 본부장은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특별대표와 협의를 갖고 김정일 사후의 전반적 상황을 평가하면서 6자회담 재개 방향을 조율할 것이라고 외교 당국자는 전했다.

임 본부장은 이날 출국에 앞서 “한중 양국은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의 일치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가 남북관계의 틀을 새롭게 짜려는 시도로 보고있다.

정부 차원의 조의 표시와 민간 조문단 파견을 고리로 대북 정책기조를 전환하는 계기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다.

북한과 혈맹국인 중국은 가장 발빠른 전략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미국도 북미 간 채널을 풀 가동하고 있다.

미국은 북한이 원한다면 식량 지원 문제는 물론 제3차 북미 고위급 대화 개최 여부를 논의하겠다는 적극적인 입장이다.

미국은 자국의 클리포드 하트 6자회담 특사와 북측의 한성렬 유엔주재 차석대사가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식량지원과 비핵화 현안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가 연초에 3차대화를 갖는다면 이는 6자회담 재개의 수순을 밟아가고 있는 셈이란 분석이 가능하다.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수용하는 동시에 미국이 대규모 대북 영양지원을 하는 형태로 6자회담이 가시관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변4강이 조문 외교 등으로 발빠른 대북 관여 행보를 보이고 있어 우리도 소극적인 입장만 보일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1994년 김일성 북한 주석 사망후 국내에서는 조문논란 파동으로 북한과의 관계가 단절됐고 이는 석달 뒤 이어진 북미간 제네바 협상에서 사실상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임 본부장의 방중을 두고 외교가에서는 한ㆍ중 간 소통이 활발하다는 점을 과시하려는 시각도 있다.

이에 한 중국 전문가는 “중국이 현 국면에서 미국을 통해 한국의 입장 등을 논의하는게 북한을 덜 자극할 것으로 판단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한국정부와 깊이 있는 토론은 불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