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을 앞두고 공천문제와 당 쇄신 등 각종 난제를 넘어야 하는 한나라당에 또 다시 대형 악재가 터지면서 총선 전망은 더욱 불투명해 졌다.
이번 문제의 시발점이 된 고승덕 의원의 발언과 그 배경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된다.
◆ 비대위, 검찰수사 ‘초강수’
비상대책위는 5일 고 의원의 발언에 대해 ‘검찰수사 요청’이라는 초강수로 맞대응 했다.
이번 사태가 지난 2003년 말 한나라당의 존폐 위기까지 몰고 왔던 ‘차떼기’ 사건 급의 파장이 일어날 수 있다는 판단아래 최대한 신속하게 사건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황영철 당 대변인은 이날 “고 의원이 언론에 밝힌 내용이 정당법 제50조의 ‘당 대표 경선 등의 매수 및 이해유도죄’에 해당한다고 보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며 “잘못된 정치문화의 쇄신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이 문제는 신속하게, 국민들의 의혹이 확산되기 전에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검찰수사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한나라당 전체를 뒤흔들어 총선 이전에 당의 존립 자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을 정도의 파장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 “왜 하필이면 지금”…‘돈봉투 발언’ 배경 관심 집중
재보선의 잇딴 패배 등으로 여권에 등을 돌린 민심을 확인했고, ‘디도스 사태’ ‘대통령 측근 비리’ 등 악재가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전대 돈봉투’ 문제까지 나오자 한나라당은 ‘패닉’ 분위기다.
발언의 당사자인 고 의원은 이날 문제가 커지자 자신의 트위터에 “한 달 전 쓴 칼럼내용이 이제 논란이 되고 있다”며 “당시 재창당 주장에 반대하면서 명분은 그럴 듯하나 전당대회를 해야 하고 편가르기 줄세우기 등 후유증이 있었다고 하면서 (돈봉투를)잠깐 언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돈 봉투를 살포한 당사자로 박희태 국회의장과 안상수 전 대표가 지목되는 것에 대해서도 “특정인을 겨냥한 폭로 의도는 전혀 없었다”며 “이 문제가 여야를 떠나 자유롭겠느냐”고 사태 진화에 나섰다.
당사자인 박 의장과 안 전 대표 역시 문제가 불거지자 “그런 사실이 없다”며 부인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왜 하필이면 지금 시점에서 이 문제가 터졌느냐’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되고 있다.
당내 한 관계자는 “공천 문제를 앞두고 완전히 ‘사장(死藏)’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 나온 일종의 ‘양심선언’ 아니겠느냐. 이번에 지목된 박 의장과 안 전 대표 모두 친이(친이명박)계라는 특정 계파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문제는 ‘계파 간 암투’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