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이날 국회에서 비상대책위 회의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황영철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ㆍ대의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인 국민이 당내 경선에 참여, 후보자를 선발토록 하는 제도다.
다만 이번 공천과정에서 도입이 검토됐던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는 선거원칙 위배와 기술적 문제 등을 이유로 도입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제대로 된 오픈프라이머리의 시행을 위한 여야 합의에 의한 공직선거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민주통합당과의 논의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경선 업무를 선관위에 위탁하는 동시에 경선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도록 하고 △체육관이 아닌 투표소 투표로 경선을 진행하며 △‘역(逆)선택’ 방지를 위해 각 정당이 같은 날 경선을 실시토록 하는 것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선거법 개정안을 내놓은 바 있다.
전략공천의 경우에는 호남 등 여권의 취약지역과 서울 강남벨트 및 일부 영남권 등 ‘한나라당 텃밭’에서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또 현 비례대표 의원은 한나라당 강세지역에 공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정했다.
이미 특혜인 비례대표에 다시 한 번 전략공천의 특혜를 줄 수 없다는 방침을 재확인 한 것.
아울러 당내 경선에서 여성 정치신인에게 20%의 가산점을 부여해 여성 정치신인에 대한 진입로를 확대키로 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확정한 전체적인 틀을 기반으로 설 연휴 전 까지 구체적인 세부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