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생 벤처기업 육성 및 개발자 지원에 본격 나서는 것.
구글은 이를 위해 100만달러(한화 약 11억원)를 내놓았다.
이는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지난해 11월 한국을 방문해 밝혔던 ‘코리아 고 글로벌(Korea Go Global)’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구글코리아는 국내 인터넷 스타트업(신생벤처)을 육성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넷 스타트업 육성 및 개발자의 글로벌 경쟁력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10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 기관은 인터넷 개방성과 상생에 기반, 인터넷 스타트업 육성 및 개발자 지원을 위해 이번 분기부터 공동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구글은 방통위의 스타트업 발굴·육성 프로그램인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과 연계해 일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한다.
구글이 한국 벤처기업과 개발자 육성에 나선 의도는 글로벌 IT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경쟁력 있는 개발자로부터 나온 새로운 ‘한류’ 콘텐츠와 한국의 앞선 모바일 역량을 통해 이용자가 확대되면 구글 입장에서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구글은 새로운 스마트업 기업을 발굴하고 구글 네트워크를 활용한 컨설팅과 글로벌 벤처 투자자와의 연결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일종의 무대를 만들어 주는 셈.
데이비드 존 콜린스 구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및 정책총괄 부사장은 "구글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하는 프로젝트에 한국이 첫 번째 파트너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국의 개발자와 인터넷 기업들이 성장해 전 세계에 영향력을 끼치는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글로벌 K-스타트업은 학생, 일반인, 기업 등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공모, 개발 및 사업화 지원,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을 통해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디어 및 서비스 발굴 단계에서 구글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개발 및 창업에 이르기까지 인력 및 자금을 지원하는 등 국내 인터넷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한다.
이어 구글은 발굴된 인터넷 스타트업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실리콘 밸리 벤처 전문가들을 한국에 초청해 우수 스타트업을 선정하고 영국 런던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벤처 투자회사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선발된 기업들의 글로벌 역량을 제고한다.
또한 개발자 양성 및 육성을 위해 세미나, 워크숍 등 개발자 및 관련 커뮤니티 지원에 대해서 협력하고 중·소 사업자의 인터넷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생협력사업도 추진한다.
방통위도 이에 발맞춰 다음달 초 글로벌 K-스타트업의 세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아이디어 공모, 개발 및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인터넷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대장정을 시작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