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도부와 호남 지역에선 당내 중진들이 4ㆍ11 총선 승리를 위해 수도권으로 움직여야한다고 압박하고 있지만, 반대로 수도권 지역구를 닦아온 예비후보들은 경계를 넘어 반발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는 것.
중진들이 수도권 선거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격전지 출마라는 희생적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손쉽게 승리할 수 있는 지역을 찾아간다는 비판론도 나온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지역구인 전주 덕진을 떠나 서울 강남지역 출마를 결심했다. 당내에서는 정 고문이 강남을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말이 퍼져 있다.
민주당은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 고문의 전주 불출마 선언을 공천혁명의 기폭제가 되는 일이라고 높이 평가하면서 강남 지역 출마를 기정사실화 했다.
이에 강남을 도전을 준비해온 전현희 의원은 이날 서둘러 강남을 출마를 선언하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정 의원이 강남을에 출마하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경선을 해야 한다”고 출마 의지를 꺾지 않았다.
정 고문측은 “아직 특정한 지역을 정하지 않았다”며 “최고위원회의의 결과를 충분히 고려하고 검토해서 지역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4선을 한 안산 단원갑을 떠나 서울 출마를 선언한 천정배 의원도 고민이 깊다.
최근 천 의원이 동대문갑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해당 예비후보로부터 “여당 강세지역도 아닌 곳에 깃발을 꽂겠다는 것에 감동할 국민은 아무도 없다”며 반발을 샀다.
천 의원은 현재 “수도권에서 한나라당의 가장 센 인물과 맞서고 싶다”며 지도부와 협의를 거쳐 지역구를 정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당내에서는 천 의원이 한나라당 정몽준 의원의 지역구인 동작을이나 이재오 의원의 은평을에 도전장을 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호남에서 3선을 지낸 김효석 의원이 강서을 출마를 결심한 것을 놓고도 뒷말이 나온다. 김 의원은 작년 7월 “수도권에서 정권교체의 밀알이 되겠다”고 선언했지만 “강서을 출마가 무슨 희생이냐”는 공격을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