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검찰은 의혹의 대상인 BW 매매계좌를 보유했던 30~50명 정도의 인물을 수사대상에 올려놓고, 이들 중 정·관계 고위급 등 사회지도층 인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한편 CNK 오덕균 대표(46)가 로비용으로 BW를 헐값에 넘겼는지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CNK가 발행한 신주인수권은 모두 100개로 370만주에 달하며, 그 중 일부를 오 대표가 정권실세와 그 주변 인사들에게 넘겼다는 의혹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오씨는 신주인수권 66개(247만여주)를 4억5000만원에 사들여 내부정보와 허위자료 제공 등을 활용해 지난 2009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72만주를 팔고, 지난해 70만~80만주를 처분해 총 727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에 검찰은 외교통상부가 지난 2010년 12월 17일 "CNK가 카메룬에서 추정 매장량이 최소 4억2000만 캐럿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한 이후 이듬해 2월 28일까지 73일간 5만주 이상 CNK 주식을 대량매도한 32개 계좌(32명)를 확인, 이들 계좌의 매매분석과 입출금된 자금의 흐름을 조사 중이다.
CNK 고문이던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60)은 본인과 가족 명의로 보유한 BW 25만주를 자료 배포 전 주식으로 바꿔 10억여원의 차익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조 전 실장처럼 보도자료 배포 사실을 미리 알고 주식을 사들였다가 거액의 시세차익을 본 권력실세 주변 인물이 있을 것으로 보고 거래내역을 살펴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금융투자업계에서는 1만3000명에 이르는 CNK 소액투자자들의 평균 손실률이 65%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65만원의 손실을 봤다는 것이다.
이날 현대증권은 CNK의 주가가 뛰기 직전인 2010년 12월 10일부터 지난 27일까지 CNK 주식을 사들인 투자자의 평균 매수단가는 9807원(거래량을 고려해 계산한 가중평균 단가)으로 현재까지 보유했다면 평균 64.7%의 손실을 봤을 것으로 분석했다.
3000원대에 머물던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 2010년 말 외교부가 보도자료를 내면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해 이듬해 1월 11일 한 달도 안 돼 장중 1만8350원까지 뛰어올랐다. 이후 언론 등이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 회사 주가는 같은 해 6월 13일 장중 6560원까지 밀렸지만, 외교부가 6월 28일 재차 CNK를 두둔하는 보도자료를 내자 8월 19일 장중 1만8500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올 들어 검찰이 CNK 관련 수사를 본격화하자 최근 들어 수차례 하한가를 거듭한 끝에 지난 27일 3460원까지 폭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