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반에는 방통위,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학계, ETRI, KISDI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트래픽 지도는 우리나라에 구축된 IP기반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어떤 용도로 어느 정도의 용량이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초고속인터넷망, 2G, 3G, WiBro,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등 국내 통신망이 각각 실시간 음성․영상통신(카톡, 스카이프, Facetime 등), 실시간 엔터테인먼트(유튜브, IPTV, VoD 등), 이메일, 게임(워크래프트, Nintendo, PC games 등) 등의 용도로 얼마나 많은 데이터 트래픽을 실어 나르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트래픽 급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어떤 통신망에 과부하가 걸려있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망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네트워크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한 정부정책이나 사업자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이를 위해 데이터 트래픽의 용도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가 없는 범위에서 통신사업자가 자체적인 망운용을 위해 이미 시행하고 있는 ‘IP Flow’ 기반의 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데이터 패킷 헤더에 담겨있는 정보를 수집, 국가 차원의 트래픽 통계를 생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