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위는 창원대 교수, 경남도의원, 창원교육지원청 교육장, 도청 정책기획관, 경남장애인단체총연합회 회장, 느티나무경남장애인학부모회장 등 11명으로 구성됐다.
비상대책위는 오는 13일 첫 회의를 개최하는 등 장애인단체와 경남교육청 모두가 공감하는 타협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창원의 장애인평생학교협의회 회원 등 장애인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장애인평생학교 예산지원에 항의, 두달 가까이 교육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장애인평생학교는 학령기를 놓친 성인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글 등을 가르치는 사설 교육시설이다.
지난해 4개 학교가 1억5000만원씩을 교육청으로부터 지원받았다.
그러나 올해는 신규 등록된 4개교를 포함해 8개 학교에 최대 7000만원 안팎으로 지원금액이 줄어 갈등이 시작됐다.
도교육청은 그동안 장애인평생학교에 대한 경남의 예산지원 규모는 다른 시ㆍ도의 10배가 넘는 수준이어서 예산 추가 편성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