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투표는 지난 해 11월부터 지난 17일까지 진행됐으며, 투표 결과 고양시 원당 3구역과 부천시 소사본 8B구역 등 21개 구역의 반대표가 25% 미만으로 조사돼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으며, 고양 능곡 7구역을 비롯한 45개 구역의 반대표가 25%이상을 기록해 사업 추진이 중단될 예정이다. 이로서 경기도 뉴타운사업은 10개시 17개 지구 165개 구역에서 9개시 15개 지구 120개 구역으로 축소 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는 투표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을 원하는 구역에 대해서는 민 관 합동 전문가로 구성된 T/F팀을 구성, 용적률, 소형주택 비율, 기반시설 부담률, 임대주택 비율 등에 대한 합리적 조정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또한 기반시설에 대한 국비지원 확대,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공공관리제 도입 등을 통해 주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사업반대로 조사된 구역에 대해서는 촉진계획변경을 통해 뉴타운사업 지구를 해제할 방침이다. 도는 뉴타운 사업지구에서 해제 된 지역이라도 주민들이 스스로 주택 보수나 개량사업을 할 경우 공공에서 기반 시설을 지원하도록 한 주거환경관리사업 등의 새로운 정비방식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개인별 분담금을 추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오는 6월경 제공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