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측은 “철도운영사업의 수익성이 보장된다면 실무 차원에서 컨소시엄에 일부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은 사실이지만 내부검토를 거쳐 참여하지 않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고 19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동부그룹 등의 주도로 논의되고 있는 민간 철도운영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교통시설을 운영해본 경험이 없는 건설회사로서 단순 운영사업에 참여하는 것은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했다”며 포기 이유를 설명했다.
대우건설은 정부의 고속철도(KTX) 운영권 민간개방 방침이 확정되기 전인 2010년에 작성한 '그린(Green) 고속철도 민간투자 사업제안서'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일부에서 이 사업제안서가 2010년 말 한국교통연구원(COTI)이 작성한 KTX 경쟁체제 도입 관련 용역보고서와 같은 내용이라며 대우건설과 현 정부와의 밀약 의혹을 제기해 왔다.
그러나 대우건설은 자사가 2010년 작성한 사업제안서는 민간투자법에 근거해 수서~강릉 구간의 KTX 노선을 민간 자본으로 새로 건설하고 일정 기간 직접 운영하는 ‘민자사업’에 관한 것이지 최근 논란의 대상인 수서~부산 또는 수서~목포 노선의 ‘철도 운영권 민영화’와는 완전히 다른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