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이 문제로 삼은 한미군사훈련은 통상적인 훈련인데다 우리측 지역에서만 사격이 이뤄지기 때문에 북한이 경고한 사유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병대는 20일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서 K-9 자주포와 20㎜ 벌컨포 등을 동원해 2시간가량 해상사격훈련을 할 예정이다.
이 훈련은 정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군은 이날 오전 유엔사를 통해 북측에 이런 일정을 통보했다.
이 훈련에 대해 북측의 특이한 군사동향은 아직까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부 소식통은 “북한이 실제 도발할 때는 사전에 경고가 없었다는 점에서 북한의 오늘 발언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이 이례적으로 해당 지역 민간인에게 대피를 안내했다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불안감을 조성하기 위한 심리전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지만 일정한 대비는 필요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군 당국자는 “합동 군사 전력을 운용해서 적이 도발하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군사대비태세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정부 당국자도 “여러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군 전선서부지구사령부는 이날 공개통고장을 통해 “조선 서해 우리측 영해수역은 우리의 당당한 자주권이 행사되는 곳”이라며 “우리의 해상경계선을 넘어 이 수역에 대한 군사적 도발이 시작되고 우리 영해에서 단 한개의 수주(水柱)가 감시되면 그 즉시 우리 군대의 무자비한 대응타격이 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해 5개 섬과 그 주변에서 살고 있거나 생업에 종사하는 모든 민간인들은 괴뢰군부 호전광들의 해상사격이 시작되는 20일 (오전) 9시 이전에 안전지대로 미리 대피하라”고 통고했다.
북한군은 또 “리명박 역적패당은 2010년 11월 23일에 있은 연평도 불바다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