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본부는 지난해 11월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생활민원 처리를 전담하는 119생활안전단을 발족, 운영에 들어갔다.
도 소방재난본부는 문 개방, 벌집 제거, 가스·전기 점검, 동물 구조 등 20여종의 생활민원이 곳곳에서 잇따르자 도내 34개 소방서별로 12명~15명씩을 배치, 3교대로 근무를 하도록 했다.
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소방기본법에 따라 법제화돼 생활안전단을 발족, 운영하고 있다”며 “지난 8일 직제 개편을 통해 생활안전단을 직할센터 생활안전팀으로 배치했으며, 근무 인력도 1개조 당 4~5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확인한 결과 일선 소방서에 새로 설치된 119생활안전단이 소방서 직할센터로 흡수되면서, 인원도 1개조에 2명으로 대폭 축소됐다.
생활안전단은 당초 계획에 따라 12명~15명의 근무 인원을 둬야 하지만, 일선 소방서의 경우 인원이 부족해 1개조 2명씩이 출동업무와 생활민원업무를 함께 처리,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와 관련 한 일선소방서 관계자는 “가뜩이나 인력이 부족해 업무가 많은데 본부가 일선 소방서의 실정을 파악하지 못한채 생활안전단을 운영하고 있다”며 “생활안전단을 처음에는 거창하기 만들더니 슬쩍 축소해 운영하는 것을 보면 생활안전단의 실효성에 의문이 간다”고 말했다.
특히 생활안전단 운영에 사용되는 차량을 구조 변경하고, 도색하는데 소방서별로 500여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밝혀져, 혈세를 낭비했다는 지적마저 받고 있다.
일선 소방서가 34곳인 점을 감안하면 1억7000여만원의 혈세를 낭비한 셈이다.
이에 대해 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생활안전단 운영은 초기 단계에서 계획변경 등 수정이 불가피했다”며 “당초 취지에 맞게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