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는 최승훈 인실리코텍 중앙연구소 박사<사진> 연구팀이 수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다공성(多孔性)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공성 물질의 구멍 사이에 기둥 역할을 하는 분자(피리딘)를 넣어 공간을 넓힌 결과 기존보다 많은 양의 수소를 저장하면서 질량과 부피는 줄어들었다.
기체 상태인 수소는 높은 압력의 수소탱크가 이용돼 왔으나 부피가 큰 데다 폭발 위험이 있다.
최승훈 박사는 "기존 다공성 물질의 질량 저장밀도를 10wt%로 유지하면서 부피 저장밀도는 기존 수소탱크보다 3분의 1정도 줄어든 61.7g/L까지 만들었다" 며 "이는 미국 에너지성이 제시한 자동차 수소 저장물질의 기준인 밀도 7.5wt%, 부피 70g/L에 거의 근접한 수준으로 무공해 자동차의 연료전지 개발 소재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 오브 피지컬 케미스트리 씨(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에 소개됐으며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 출원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