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중소기업 8300여개와 핫라인 본격 가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6 12: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면수 기자) 공정거래위원회는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행위가 빈번한 자동차·부품 등 하도급분야 2개 업종과 유통 분야의 8300여개 중소협력업체와 ‘핫라인’을 본격 가동한다고 26일 밝혔다.

공정위는 이번 핫라인을 통해 하도급·유통 분야의 불공정행위, 피해사례, 애로사항 등을 상시로 파악해 예방능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법위반 혐의가 포착될 경우 직권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핫라인이 가동되는 하도급 분야는 단가인하와 기술자료 요구가 잦은 영상·통신장비, 자동차·부품 등 2개 업종의 3600여개 중소기업이다.

특히, 이 두 분야는 납품단가 인하업체 비율과 납품단가 조정 신청업체 비율이 다른 업종보다 크게 높아 핫라인 설치 우선 대상으로 선정됐다. 영상·통신장비 분야는 두 비율이 48.7%, 58%고 자동차·부품 분야도 25.9%, 34.3%에 이른다.

공정위는 두 분야에서 원사업자의 단가인하(CR) 동향, 원사업자의 하도급대금 감액 동향,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납품단가 조정신청 및 협의 동향, 원사업자의 기술자료 요구 및 제공 동향 등 파악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정위는 이들 2개 업종의 핫라인 운영 성과 점검 후 다른 업종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유통분야는 백화점·대형마트·홈쇼핑 등에 납품하는 4천700여개와 공정위간 핫라인을 가동해 부당반품, 판촉비용 전가, 부당행위 강요, 구두 발주, 판촉사원 파견 강요, 판매수수료 인상 및 전가 등 사례를 제보받는다.

또한 핫라인은 협력업체 직원과 공정위 전담 직원 간 휴대전화 상시 연락 체계 구축, 소규모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가동된다. 중기중앙회 등 중소기업 관련단체와도 핫라인을 만들어 우회제보의 길도 열었다.

제보접수는 하도급(http://hado.ftc.go.kr), 유통(http://k.ftc.go.kr) 등 분야별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핫라인이 가동되면 중소기업과 긴밀한 소통이 가능해져 중소기업 애로사항이 공정위에 직접 전달된다“며 ”아울러 중소기업의 교섭력이 보완돼 고질적인 불공정 관행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공정위는 오는 27일 ‘30대 그룹 동반성장 임원 간담회’를 열어 핫라인 가동계획을 설명하고 불공정 관행의 개선, 핫라인·서면실태조사 방해 금지 등을 당부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