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6만4850가구로 전달(6만7786가구)보다 2936가구 줄었다. 지난 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만7603가구로 지난해 10월(2만7101가구) 이후 4개월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인천이 162가구 늘었지만 서울과 경기가 각각 187가구, 1333가구 줄었다.
지방의 미분양은 3만7247가구로 전월(3만8825가구)보다 1578가구 감소했다.
주택 규모별로는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과 중소형(전용 85㎡ 이하)이 각각 3만8532가구, 2만6318가구로 1달새 1514가구, 1422가구 줄었다. 준공후 미분양은 3만1452가구로 2개월만에 감소했다.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5월(7만1360가구)까지만 해도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주택시장 회복 기대감을 키웠다. 이후 6월(7만2667가구) 들어 증가세를 보이다가 10월(6만6462가구)에는 감소세로 돌아서더니 11월(6만7040가구), 12월(6만9807가구)에는 다시 늘어났다.
특히 수도권은 2~3개월 단위로 증가세와 감소세가 뒤바뀌는 양상이다. 지난 2월 미분양이 2만7603가구로 1년 전인 지난해 2월 2만7417가구보다 오히려 200여가구 늘어났다.
분양 열풍에 힘입어 미분양 물량이 많이 소진된 지방의 경우 지난해 5월(4만4327가구)까지 26개월 감소세를 기록한 이후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추이를 살펴볼 때 신규 분양 단지가 많아지면 미분양 물량도 덩달아 늘고, 분양이 줄면 미분양도 감소하는 현상이 지역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