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의 한 축인 민주통합당과 진보신당이 이정희 대표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 이 대표는 사퇴는 있을 수 없다며 '재경선'을 주장하고 있어 양측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야권연대 전체 판 유지와 총선의 공동 승리를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 백번 공감한다"면서도 "하지만 문제를 야기한 측의 태산 같은 책임감을 전제해야한다"며 이정희 대표의 자진 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야권연대에 적극적이었던 민주통합당의 이 같은 자세는 야권연대 및 공천과 관련해 당내 내홍이 심화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 이날 박영선 최고위원이 공천에 불만을 품고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하고, 경선에서 패한 김희철 의원이 탈당을 고려하는 등 마찰이 심화하고 있다.
이 대표가 주장하는 재경선을 실시할 수도 있지만 당장 총선 후보자 등록이 23일까지라 재경선은 사실상 무리이다. 때문에 야권연대의 틀을 유지하면서 문제를 무마하기 위해선 이 대표의 자진사퇴 밖에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연대의 한축인 진보신당 역시 비판의 목소리를 올리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진보신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정희 후보의 재경선 주장은 부정투표 당사자로서 반성을 커녕 매우 뻔뻔한 행태"라며 "이정희 후보와 윤원석 후보는 국민 앞에 반성하고 후보직을 사퇴하는 것이 맞다. 그렇지 않는다면 '진보'의 이름을 더럽히는 꼴"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진보신당은 이 대표는 물론 윤원석·정진후 후보의 성추행 전력을 들먹이며 동반 사퇴를 촉구했다. 야권연대 경선에서 후보를 1명 밖에 내지 못한 진보신당으로선 통합진보당을 직접 비판함으로써 '진보정당'으로서의 정통성과 외연 확대를 꾀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정희 대표 측은 이 같은 비판에도 재경선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어 적잖은 마찰이 예상된다. 만약 이 대표가 후보직에서 물러날 경우 야권연대가 느슨해 질 가능성도 있다는 점도 고민인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