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이날 엘피다의 매각 주관사 노무라에 1차 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기준 엘피다의 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11.9%다. 삼성전자(43.2%)와 SK하이닉스(23.7%)에 이은 세계 3위 업체다. SK하이닉스가 엘피다 인수에 성공할 경우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는 7.6%에 불과하다. 2강 구도를 구축하는 셈이다.
엘피다는 모바일 D램 분야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SK그룹에 편입되면서 모바일 D램 분야 확대를 선언한 SK하이닉스로서는 엘피다가 매력적인 매물이다. 현재 SK하이닉스와 엘피다의 모바일 D램의 점유율은 각각 22.9%, 17%다.
일부에서는 SK하이닉스가 인수보다는 경쟁업체 견제에 목적이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엘피다를 인수하기에는 SK하이닉스의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또 엘피다가 일본 국민기업인 만큼 국민 정서도 고려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의향서 수준이기 때문에 SK하이닉스가 최종 인수까지 참여할 지는 미지수"라며 "경쟁사의 내부 사정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론이 엘피다를 인수하게 되는 것도 SK하이닉스에게는 부담이다. 마이크론이 엘피다를 인수하면 D램과 모바일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설 수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 외에도 일본 도시바와 미국 마이크론이 엘피다 인수전에 참여했다.
마이크론은 엘피다의 기술을 확보, D램 사업을 재정비하겠다는 입장이다. 도시바는 사업 다각화를 위해 엘피다가 필요하다.
엘피다는 1차 입찰을 종료한 이후 4월 말에 2차 입찰을 개시한다. 5월 초 우선협상대상자 1개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