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 검사의 대상은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외환, SC은행 등 총 7곳으로 애초 검사대상으로 알려졌던 한국씨티은행은 금감원이 3월에 종합검사를 했기 때문에 이번 검사에선 제외됐다. 대신 외환은행이 새로 추가됐다.
한은과 금감원은 3명씩 각 은행에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이번 검사는 지난 3월 22일 한은이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부채 문제를 공동으로 검사하자고 결정하고 금융감독원에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해 8월 한은법 개정으로 한은의 공동검사에 금감원이 1개월 내에 응해야 한다고 규정한 이후 한은이 처음 요구한 것이다.
한은은 이번 공동검사를 통해 금융회사의 취약부문(저소득층)에 대한 대출취급 현황, 은행의 금리운영, 리스크 관리의 적정성 등을 알아본다는 계획이다. 특히 가계부채는 대출규모별, 상환방식별, 소득수준별, 연령별 현황을 중심으로 검사한다.
또한 경기침체 때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을 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을 자세히 검사하고 은행의 담보별, 만기별 대출 결정 방식은 물론 가산금리의 적정성도 따질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