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복제소 간 또는 복제소와 공여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외모와 비문을 이용하는 방법이 유일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축된 후 분할된 경우, 적용할 수 없고, 한 마리의 공여소(donor)로부터 생산된 복제소는 동일한 유전자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전자 분석 방법(microsatellite)으로는 개체구분이 불가능했다.
이에따라 농진청은 복제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모계소에서 제공하는 난자가 다른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됐다.
복제의 특성상 동일한 소의 공여세포를 이용해 난자에 이식할 때 공여세포가 가지고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같이 포함돼 이식된다. 일반적인 수정을 통해 태어나는 개체는 미토콘드리아가 난자(모계)에서만 유래되므로 모두 동일한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자손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복제 방법을 통해 태어난 개체는 난자로부터 유래된 미토콘드리아와 공여세포로부터 유래된 미토콘드리아를 동시에 가지므로 이들의 특성을 이용해 개체 식별이 가능하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양병철 농촌진흥청 동물바이오공학과 연구사는 “동일한 개체로부터 생산된 복제소에 대해 외모적 방법이 아닌 유전적 방법으로 개체를 구별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며 “앞으로 소 뿐만 아니라 다른 복제동물의 개체구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