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정책금융 지원 다양화 방안’을 19일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창업·중소기업 금융환경 혁신대책 중 마지막 대책이다.
금융위는 정책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대출과 투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복합금융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키로 했다.
올해에만 정책금융공사 1000억원,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각각 2000억원씩 총 5000억원을 지원한다.
외화 온렌딩 제도도 도입됐다. 정책금융공사가 기업은행과 외환은행, 부산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공급하면 기업들은 해당 은행에서 외화를 빌릴 수 있다.
지원 대상은 설립 3년 경과, 전년 매출 10억원 이상, 금감원 표준신용등급 6~11등급에 해당하는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은행권의 외화조달 여건이 악화되더라도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에 대한 외화 공급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외화 온렌딩 제도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기술력평가부 대출에 대해서는 정책금융공사의 온렌딩 대출 시 우대조건을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대상은 중소기업청과 은행 등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이다. 연 0.2%포인트의 금리할인 혜택이 제공되고 신용위험 최대분담비율도 상향된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경우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인증서 취득비용도 대신 지급하는 등 올해 500억원 수준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