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스마트 워크&스마트 라이프‘라는 주제로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스마트워크 심포지엄을 열고 스마트워크 운영 성과를 발표하고 노하우를 기반으로 기업 대상 맞춤형 스마트워크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4월부터 직원 2만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를 적용해온 KT는 문화적 인식 전환 및 기술적 서포트,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스마트워크를 조기 정착 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KT 직원들의 스마트워크 참여 비율은 전년 대비 4.3배 증가했으며 매달 4000명의 직원들이 스마트워킹센터 또는 재택근무를 이용 중으로 1인당 출퇴근 절감시간 94분을 적용하면 연간 26년의 시간이 절감되고 있다.
직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출퇴근시간 절감으로 발생한 여유시간을 가족과 함께하는 비율이 34%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으며 휴식 및 자기개발에 이어 업무에 재활용하는 비중도 17.5%에 달해 이를 근무시간에 반영하면 현재보다 5% 이상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만족도에 대해 기존 사무실 근무와 비교해 집중도가 높아졌다는 의견이 72.2%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활동에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는 등 스마트워크에 대한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스마트워크로 출퇴근거리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절감 등 친환경적 성과도 나타났다.
1인당 평균 출퇴근 거리 33.4Km를 지난 3월 한달 동안의 스마트워크 이용일수 1만1700일에 적용하면 39만Km로 지구 9.7바퀴의 출퇴근 거리가 줄고 20톤의 이산화탄소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패드를 활용한 회의문화 등 스마트환경 구축으로 2010년 1인당 월평균 231장의 종이 사용량이 지난해에는 188장으로 20%가 줄어 연간 83톤의 종이절감 효과도 있었다.
1150만명의 노동인구 중 스마트워크 이용자 수가 350만명으로 확대될 경우 연간 출퇴근시간 2만5000년, 이산화탄소 46만톤과 공간비용 3300억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KT는 직원들을 위해 운영중인 분당, 서초, 광화문, 동작 등 서울과 수도권 15개, 대전 1개의 스마트워킹센터를 직원의 거주지 분석 및 니즈를 반영해 확대하고 IT시스템도 추가 반영할 계획이다.
KT는 내부 운영성과를 기반으로 일반 기업들이 스마트워크를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전국 주요지역에 ICT기술을 결합한 올레 스마트워킹센터를 지난해 6월부터 운영 중으로 스마트워크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레 스마트워킹센터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센터를 시작으로 평촌, 부천, 목동, 구미, 분당, 부산 등 현재 15곳에서 40여개 기업 250명이 이용 중으로 연말까지 3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 기조 강연을 맡은 독일 사회과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르쿠스 알베르스는 글로벌 스마트워크의 현주소에 대해 설명을 하면서 한국은 도시 집중형 사회구조와 열악한 근무 여건에 반해 뛰어난 IT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스마트워크를 적용하기에 최적의 환경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스마트워크에 대해 평소 관심이 많았으며, KT와 같은 기업이 스마트워크의 모범적인 사례”라며 “스마트워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기술, 그리고 소통의 세가지가 효과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훈 KT G&E 부문장(사장)은 “스마트워킹은 단순히 IT솔루션을 업무에 적용하는 개념을 넘어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해 직원들의 근무만족도와 생산성을 한 번에 높이는 혁신 프로젝트다”라며 “KT는 공간과 IT 인프라를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올레 스마트워킹센터를 더욱 확대하여 중소기업들도 스마트워크의 혜택을 손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