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30일 중견기업의 지원정책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립할 중견기업정책관을 산업경제실내에 신설하고 하부조직으로 중견기업정책과, 혁신지원과, 성장촉진과 등 3과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중견기업정책관은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법적·제도적 요인을 범정부적으로 발굴, 개선해 나가고, 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시책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게 된다.
그 동안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은 지경부 기업협력과에서 수립되고 추진됐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잦았다.
지경부 관계자는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 인센티브를 성장 촉진형으로 개편해 중소기업들이 '중소→중견→대기업'으로 원활하게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르면 다음 달 중 중견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오는 2015년까지 120만 개의 일자리를 책임지는 중견기업 3000개(2010년 말 현재 1291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현 정부 들어 중견기업의 수는 전보다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중견기업은 지난 2010년말 기준으로 총 매출 350조 원(11.9%), 수출 592억 달러(12.9%), 고용 80만 2000명(8%)을 차지하는 등 우리 경제의 허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경부는 이르면 오는 5월 중 중견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다.
한편 지경부는 이번 직제개편에서 오는 7월16일 만료하는 에너지절약추진단의 존속기한을 1년 연장했다.
또 현재 마산, 군산, 대불, 동해, 율촌 등 5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자유무역지역관리원을 확대해 오는 8월1일부터 김제, 울산 등 2개 지역에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