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전문가들은 상품(경선후보자)의 수는 늘고 있지만 질의 다양성이 담보되지 않은 친이 상품만 진열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더 많은 소비자(국민참여)에게 경선 투표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의 내놓고 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출마 기자회견에서 박 위원장을 겨냥해 “킹 메이커(대통령을 만드는 사람) 역할을 하는 게 가장 정치적으로 필요한 때”라고 주문했다.
임 전 실장은 “박근혜 전 대표께 제의한다”며 “지난 40년간 이 구태의연한 정치의 틀을 깨는 데 역할해달라.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정치를 여는 ‘디딤돌’이 돼 달라”고 요구했다. 박 위원장의 대선 불출마를 종용하면서 날선 대립각을 세운 것이다.
그는 또 비박연대 가능성에 대해 “다른 출마자들과의 연대 문제는 또 하나의 구태의연함”이라고 부정하면서 “한국 정치의 구태의연한 틀을 부수는 일을 시작한다”고 밝혀 대권레이스 완주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박근혜 대세론이 지배하는 새누리당에서 비주류인 친이계는 인해전술로 승부하고 있다“며 ”19대 총선 이후 완전히 밀려난 친이계 입장에선 입지를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한 필사적 저항을 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대선 공식 출마선언을 눈앞에 둔 이 의원은 박 위원장의 불출마 대신 경선룰 변경을 집요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의원은 국민참여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도입, 합리적 당 운영 등을 요구하면서 박 위원장과 대립하고 있다.
임 전 실장도 경선룰과 관련, ”경선의 의미는 국민이 국정 운영을 맡기는 후보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경선 룰을 손볼 수밖에 없다“며 완전국민경선제 또는 국민여론 반영 확대에 찬성 입장을 보였다.
신 교수는 “대선 경선 규칙도 개방성과 민주성이 강화되는 방향이 맞다”며 “그러나 친박(친박근혜)계에서 완전국민참여경선제를 수용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여론의 향배가 어디로 향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