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화당의 대선 주자로 미트 롬니 전 매사추세츠주지사가 확정되면서 지지율 여론조사에서 여러 차례 뒤졌던 오바마는 당분간 큰 호재를 만나기 전에는 올 11월 대선에서 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번 위스콘신 주지사 소환선거에는 민주당의 주력 지지 부대인 노동계가 전국에서 달려들었다. 워커 주지사는 공화계 보수 시민운동인 티 파티의 주역으로 만일 민주계가 주지사 소환을 성사시키면 올해 대선에 미치는 영향 등 정치적으로 상징성이 큰 이벤트였다.
무려 5만명이 넘는 노동계, 민주당계 자원봉사자들이 140만채의 유권자 집들을 방문했고, 전화 통화만 180만통을 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노동계가 사용한 자금만 1800만달러다. 주 노동조합은 물론이고 미 최대의 노조조직인 산별노조총연맹(AFL-CIO)까지 가세를 했지만 4700만달러를 사용하며 버틴 워커 주지사와 공화당에게 패했다.
워커 주지사가 승리하면 같은 당인 롬니 대선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찍부터 제기됐다. 워커는 티 파티의 강한 지지를 받는 점에서 보수적인 공화당을 잘 대변하고 있다. 게다가 위스콘신은 대표적인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경합주)로 오바의 당선을 위해서는 과반 이상의 지지가 필요한 곳이다.
게다가 미국 역사상 주지사 소환 선거가 열린 적은 이번까지 세번이지만, 유일하게 워커 주지사만이 자리를 지켰다. 지난 1984년 공화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승리한 후 민주당 대선 후보가 계속 승리했던 위스콘신이기 때문에 보수적인 공화당 주지사의 승리는 오바마의 11월 재선 희망에 재를 뿌리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평가다.
소환선거에서는 졌지만 큰 결과물을 가져온 싸움이라는 노동계는 애써 자위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주지사 선거 때보다 노동계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두자리수 이상로 증가했고, 예비선거에서 근소한 차로 공화당 상원의원을 낙선시키는 등 소환 운동을 통해 노동계의 입장이 유권자들에게 잘 전달됐다는 평가다.
한편 워커 주지사는 주 재정적자 해결을 위해 취임 직후부터 공무원들의 단체 교섭권을 제한하고 건강보험 및 연금 부담 금액을 늘려 노조로부터 강한 반대에 직면했었다. 민주당과 노동계는 지난해말부터 약 2개월에 걸쳐 100만명의 서명을 받아 소환선거를 끌어냈으나 결국 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