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 = 현대엠코 지역주택조합 현황] |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현대엠코가 서울 상도 엠코타운을 비롯 앞으로도 경기·충남·전북·울산 등지에서 계속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를 집중 공략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같은 지역에 사는 무주택 주민들이 내집마련을 목적으로 조합을 설립하고 조합이 사업의 주체로서 직접 토지를 매입한 이후 아파트를 건설한다. 일반 분양에 비해 규제가 적어 사업추진 속도가 빠르고 토지 매입을 비롯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때문에 발생하는 금융비용 부담이 거의 없어 시세가 일반 주택 사업과 비해 10% 이상 저렴해 최근들어 주택 시장서 인기가 꾸준히 느는 주택이다.
더욱이 수요자 입장에서는 정식 분양절차를 거치지 않음은 물론 청약통장이 없는 경우도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주택을 구입 가능하기 때문에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 시공사 입장에서도 사업 초기에 투입될 비용이 없고 토지매입과 조합원 모집이 완료되는 조건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금융비용 등 리스크 부담이 거의 없다.
현대엠코가 공급하는 아파트 다수는 중소규모 지역주택조합이다. 지역별로는 오는 9월 입주 예정인 서울 동작구 상도동의 '상도 엠코타운 센트럴파크', '상도 엠코타운 애스톤파크'(총 2441가구)를 비롯 ▲경기 안양시 석수동(239가구) ▲충북 청주시 영운동(400가구) ▲충남 당진시(855가구) ▲전북 전주시 평화동(510가구) ▲전북 군산시 지곡동(956가구) ▲울산 동구 강동산하지구(696가구) 등 6000가구 규모다.
현대엠코 주택본부 제갈성 전무는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분양가가 저렴한 지역주택조합이 실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현대차그룹의 건설사라는 점을 들어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회사라 알려지면서 시공참여 요청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공사로서 사업 초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없고, 토지매입과 조합원 모집이 완료되는 조건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금융비용 등 리스크 부담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엠코는 지난 2005년 '엠코타운' 브랜드로 주택시장에 진출한 이후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 등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이며, 최근에는 틈새시장인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참여를 늘리며 엠코타운 브랜드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