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이하 국자위)는 ‘집단구매와 비용절감’을 최근의 화두로 선정했으며, 충칭(重慶)에서 개최됐던 중앙기업관리강화현장점검에 이어 11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구매관리 시스템강화 회의에서도 집단구매시스템의 조기정착을 강조했다고 중국의 매일경제신문이 12일 전했다.
국무원 국자위는 중국의 국유기업 중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중앙기업을 관장하는 곳이다. 그리고 각 지방정부별로 지방기업을 관장하는 지방 국자위가 별도로 존재한다.
국자위 부주임은 사오닝(邵寧)은 이날 회의에서 “국외기업이든 국내기업이든 집단구매는 기업구매관리의 대추세”라며 “국유기업의 구매제도 역시 집단구매의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앙기업의 약 20%만이 집단구매를 채택하고 있으며, 117개의 중앙기업의 구매관리수준이 기준에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사오닝 부주임은 “국유기업 구매관리작업은 이미 13년동안 이뤄지고 있으며, 이로인해 구매관리 수준이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도 “중앙기업의 구매모델의 폐단이 발견되기 시작한 만큼 집단구매를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글로벌 시장수요의 감소하고 있는데다가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어 많은 기업들의 원가가 높아지고, 자금이 달리며, 이익률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집단구매를 통해 원자재나 부품 소재의 원가를 낮춰야 한다는 것.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