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LIG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 보험료 인하를 위한 본격적인 검토 작업에 돌입했다.
이들 손보사는 7월까지의 손해율을 검토한 뒤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2%대 정도 내리는 방안에 대한 요율 검증을 보험개발원에 의뢰할 계획이다.
지난 4월 평균 2.5% 인하에 이어 평균 2%대가 추가 인하되면 올해에만 보험료가 평균 5% 가까이 내리게 되는 셈이다. 1년에 자동차 보험료가 2번이나 인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오는 9~10월 신규 자동차보험 가입자부터 인하된 보험료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차종별로는 올해 상반기 자동차 보험료 인하 때와 마찬가지로 배기량 1600㏄ 이하 소형차와 다인승(7∼12인승) 승합차에 보험료 인하 혜택을 집중할 방침이다. 2000㏄ 이상 대형차와 외제차는 제외된다.
손보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되면서 업계에서도 올해 상반기 수준으로 보험료를 내릴 준비를 하고 있다”며 “현재 검토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추가 인하에는 금융당국의 압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에서 “손해율 추이 등 보험시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험료 추가 인하를 적극적으로 지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 6월에 삼성화재 68.4%, 동부화재 69.5%, 현대해상 66%, LIG손해보험 69%로 나란히 60%대까지 떨어졌다.
특히 손해율이 100%에 달했던 AXA손해보험 등 온라인보험사마저 최근 손해율이 70%대로 낮아지면서 자동차 보험료 인하 압박이 더욱 거세졌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LIG손보 등 대형손보사들은 손해율 개선에 따라 이번 보험료 추가 인하에 동참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1년에 두 차례나 진행되는 보험료 인하가 달갑지만은 않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보험료 인하 요인이 생긴 만큼 업계의 추세에 따르겠지만 한 해에 두 번씩이나 인하해야 하는 것은 너무하다”며 “1년간 손해율 추이를 지켜본 후 보험료 인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