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갑양 서울대 교수 |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는 서갑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사진) 연구팀이 피부처럼 유연하면서도 다양한 미세자극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주형을 만들고 고분자 액체를 흘리는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을 거쳐 기판에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섬모가 붙은 센서를 제작했다.
이 고분자 섬모 센서는 사람의 피부처럼 누르거나 당기고 비트는 감각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눈 깜짝할 시간에 일어나는 작은 물방울의 충돌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맥박의 변화와 혈관의 압력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소리를 감지하고 콧속 이물질을 걸러내는 등 다양한 구실을 하는 인체 여러 부위의 섬모와 유사한 기능을 공학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섬모는 1만회 이상 반복적인 압력을 가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터치패드, 로봇기술, 의료기기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누르거나 당기거나 비트는 감각까지 피부처럼 감지하는 센서 개발로 앞으로 다양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담당의사에게 전달하는 의료기기나 신개념 정보기술(IT) 터치패드 기술,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