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남측 대한적십자사가 지난 8일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 접촉을 제안했고 다음날 조선적십자회가 남측에 통지문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이 지난달 25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8·15 광복절이나 추석을 계기로 기존의 (이산가족 상봉)제안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리고, 북한이 호응해오도록 촉구할 생각”이라고 말한 바 있어 일각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상봉 제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는지를 주목해 왔다.
그러나 정부 당국자는 8일 실무 접촉을 제안하고도 "이산가족 상봉을 어떤 방식으로 제기할지 고민 중"이라고 거짓말까지 한 채 실무 접촉 제안을 숨기며 꼼수를 부렸다.
통일부는 “진행 중인 사안을 일일이 공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는 입장이다.
이에 통일부가 즐겨온 '비밀주의'가 북측에 뒤통수를 맞은 꼴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0년 9월 통일부는 대한적십자사의 대북 수해지원 제의에 대해 북측이 쌀과 중장비, 시멘트 지원을 역제의한 사실을 감추다 며칠 뒤 언론보도로 이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당시 현인택 통일부장관은 출입 기자실에 내려와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국제구호단체인 독일 카리타스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해 북측에 B형 예방백신을 전달하고서도 언론 보도가 나오고 나서야 관련 사실을 밝혔다.
우리 정부의 이번 '비밀제안'은 북측이 지난 2월달처럼 우리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자존심이 상할 것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