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7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올바른 역사에 반하는 행위"라고 작심 비판에 나섰다.
특히 이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를 한·일 양국간 문제가 아닌 '전시 여성의 인권문제'로 규정,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이 대통령이 이 같은 강경발언의 배경에는 임기 중 마지막 8·15 광복절을 앞두고 더 늦기 전에 한·일 과거사 문제의 매듭을 풀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정지지율이 10%대로 하락한 정권 말기 레임덕 현상을 막기 위한 정치적 행보라는 오해를 받을 소지도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찬반 양론이 극명하게 갈리는 '휘발성'이 강한 이슈임에는 분명하다. 이 과정에서 독도 방문 소식을 우리 국민들보다 일본 국민들이 언론 보도를 통해 먼저 접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 한·일관계 악화를 우려하는 비판의 목소리도 많고,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일본의 '계략'에 말려들었다는 걱정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배경이나 목적이 어찌됐든 언젠가는 해결해야 되는 문제인 것은 분명한 만큼 우리 '내부'에서의 분열은 없어야 된다는 점이다.
국민들이 이번 독도 방문을 각종 여론조사에서 60%가 넘게 지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이 지나치게 정치쟁점화해 본질을 훼손하는 일은 옳지 못하다.
항상 '국민'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는 여야 대선주자들의 날선 비판이 귀에 거슬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민주통합당만 해도 지난 5월 자당 소속 국회 독도특위(위원장 강창일) 의원들이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분쟁이 일고 있는 쿠릴열도를 방문해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촉구하지 않았는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