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한국 8월 수출과 수입은 각각 전년대비 6.2%, 9.8% 감소, 무역수지는 20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며 “당초 1~20일자 수출입 실적을 바탕으로 예상했던 수출 -1.9%, 수입 -3.3%, 무역흑자 10억 달러보다 수출입 금액은 많이 부족했던 만큼 무역 흑자는 더 많았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수출이 부족했지만 수입도 월 하순에 크게 저조했던 것은 대내외 수요 요인 외에 초대형 태풍에 따른 선박 및 항공 운송에서의 애로가 크게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 “자동차 파업에 따른 수출 손실이 대략 10~15억 달러(자동차 생산 차질의 70%를 반영)로 총수출액의 2~3%로 추정되고, 8월 둘째주 전력난에 따른 수출 손실도 총수출액의 약 1%는 될 것”으로 평가했다. 그는 “이러한 일회성 요인이 없었다면 8월 수출은 전년대비 5% 이하의 얕은 폭이나마 플러스 증가율이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했다.
박 연구원은 “일회성 요인이 소멸되면서 9월 수출은 전월대비 10% 이상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전년대비 증가율은 2~5%로 높아질 것”이라며 “수입 증가율도 동반 상승하겠지만 무역수지는 8월(20억 달러)보다 좀더 많은 35~40억 달러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