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사무총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구체적인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재판의 결과나 내용을 잘 몰라 개인적으로 그 문제에 대해 말할 상황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때(과거) 상황을 제대로 파악, 인지하고 전문가들과 충분한 논의나 연구를 거쳐 결론을 내려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당 소속 정준길 전 공보위원의 ‘안철수 불출마 종용 협박’ 논란에 대해 “친구 사이의 전화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자세 자체가 문제로, 이는 심각한 구태정치”라며 박 후보와 입장을 같이했다.
그러면서 “(안철수 원장 측 금태섭 변호사의) 기자회견에는 언론검증을 무디게 하려는 의도와 함께 측근 일부가 민주당과 결탁해 안 원장의 출마를 종용하는 환경을 만들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특히 “금 변호사가 정 전 공보위원과의 9월 4일 전화통화를 이틀이 지난 6일에 기자회견을 했는데 두 사람의 전화를 정략적으로 이용하려는 민주당과의 전략적 논의가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일각의 국정조사 주장에 대해서는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필요하면 진상조사 아니라 특검도 할 수 있지만, 이 사건에 관해 뭘 조사하고 뭘 수사할지 분명치 않다”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