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 김태경 연구위원은 '공공기관 지방이전 새로운 돌파구를 찾자'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공공기관 종전부지 매각과 활용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돌파구를 모색했다.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이 시작됐지만 도내 이전대상 공공기관 37개소 중 매각이 완료된 곳은 7개소뿐이다. 당초 이전 완료 목표시점은 2012년 이내였으나 향후 2~3년 이상 이전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자체매각 입찰에서 팔리지 않은 6개 기관을 3,176억 원에 사들였으나 전체 매각 예정 규모 5조 7천억 원의 5.6%에 불과하다.
국토해양부는 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지역의 부동산을 매입하기 위한 재원마련과 매각 용이성을 위해 상당 면적의 종전 부지를 아파트 용지로 개발할 계획으로, 도 주요 공공기관 종전부지인 원예특작과학원, 농업과학원, 축산과학원 등지가 대표적이다.
반면 도를 비롯한 관할 시 군은 주거면적을 최대한 줄이고 공원 등 주민휴식공간과 R&D시설을 선호하지만 국토해양부와 조율이 쉽지 않고, 부동산을 매각하고 떠나는 정부와 공공기관이 기존 부지를 사용할 도 및 관할 시 군을 배제하고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지적이다.
공공기관 이전의 본래 취지는 수도권의 과밀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것 인데, 반면 도는 공공기관 이전으로 고용자수 9,853명 감소, 근로소득 4,434억 원, 경비지출 5,124억 원, 지방세 수입 446억 원 등 약 1조원의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에, 김 위원은 공공기관 이전부지와 주변지역에 대해 수도권정비법상 대학 공장 등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는 정비발전지구 도입을 제안했다.
이전 부지 활용 계획은 도와 관할 시 군이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수립하고,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역사회가 필요한 기능을 유지를 위해 정부는 지원자 입장으로 한발 물러설 것을 당부했다
김태경 연구위원은 “기본적으로 종전부지 활용은 남는 종전부동산의 관할 시 군이 해당 지역의 합목적성에 따라 방향과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 의원 입법발의를 통해 수도권 정비발전지구 이행을 강력히 촉구해 종전부지 활용방안의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