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내 혼잡도는 수도권 전철 이용의 가장 불만요인으로 꼽혔으며, 신분당선 강남~용산 구간을 개통할 경우 혼잡 감소로 인한 편익 비용이 3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개발연구원 빈미영 연구위원은 8일 '교통복지를 고려한 철도사업의 타당성 평가방안 연구'에서 철도사업 예비타당성 항목에 차내 혼잡도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수도권 전철이용자 250명을 대상으로 차내 혼잡도, 배차 간격, 차내 시설, 안정성,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차내 혼잡도가 100점 만점 기준 51.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철도 내 혼잡도가 200%일 경우 차량 내 빈 공간이 없어 움직임이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이 같은 혼잡은 경기도와 서울의 경계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철도노선별 혼잡도는 7호선 군자~어린이대공원 방면이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호선 사당~방배 방면 202%, 중앙선 중랑~회기 방면 199%, 양평~영등포구청 방면 189%, 경인선 역곡~구로 방면 184%로 나타났다.
빈미영 연구위원은 "신규 철도사업 건설 시 타당성 평가에 혼잡도를 비롯해 접근성, 정시성을 포함해야 한다"며 "현재 철도 사업 타당성 분석은 통행시간 비용 절감 등 이동성만 강조하는데, 철도를 교통복지의 대표적 수단으로 보고 이용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