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국토해양부가 인천만조력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을 반려하고 중앙연안관리심의회를 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사업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6월에 이어 중앙연안관리심의회에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을 상정치 못했다.
국토부는 이에 앞서 한수원의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요청에 지난달 인천시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련 부처와 기관의 의견을 수렴했다.
인천시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부, 문화재청 등은 환경 훼손과 어업 피해 등을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문화재와 습지보호구역에 대한 해제 절차가 선행되지 않았고 인천항, 인천국제공항의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반려 이유를 설명했다.
또 과학적이라고 객관적인 사전 검증과 충분한 검토를 통한 주민 이해가 형성되지 않은 점도 지적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국토부로 부터 공식적인 문서를 받지 못한 상태이지만 결과를 토대로 사업 재추진 여부 등에 대해 내부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은 2012~2017년 3조9000억원이 투입돼 강화도 남쪽~옹진군 장봉도~용유도를 둘러싼 바다에 3만㎾규모의 수차발전기 44대(132만㎾)를 설치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조력발전 프로젝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