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성장·복지·경제민주화, 일자리에서 시작되고 귀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0-16 13: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는 16일 “성장·복지·경제민주화가 모두 일자리에서 시작되고 귀결된다”며 일자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시민캠프 카페에서 열린 일자리혁명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일자리야말로 많은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첫 실마리”라고 말했다.

그는 먼저 “일자리 위원회는 단순히 선거용 자문위원회가 아니다”라며 “차기 정부의 국가일자리위원회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힘을 실어줬다. 또 “대통령이 된 후에도 일자리위원회 위원장은 직접 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명박 정부의 747정책은 일자리를 경제성장에서만 찾았지만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고 줄었다”며 “발상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문 후보는 “일자리 중심의 경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일자리를 ‘만’들고, ‘나’누고, 기존의 나쁜 일자리를 ‘바’꾸자는 것”이라며 ‘만나바’ 정책을 강조했다.

또 "재정예산, 조세감면 지원까지도 일자리를 중심에 놓고 짜보자는 의미에서 일자리 혁명”이라며 “새 정부가 들어서면 인수위원회를 단계 거쳐 정책들이 곧바로 시행될 수 있게끔 실행 계획까지 담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일자리위원회 위원들의 발언도 이어졌다.

20대 CEO인 정수환 앱디스코 대표는 “정부의 창업 지원도 중요하지만 정책적인 부분이 보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방안 등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일전자 윤장혁 대표는 “청년 일자리 문제는 양극화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 초봉이 3500만원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2400만원에서 시작한다. 중소기업 직원은 입사 후 10년정도 흘러야 대기업 초임을 받게 돼 10년의 갭이 있다”며 “청년들은 취업 재수·삼수 등 3~4년 투자해 10년을 커버할 수 있다면 그게 당연하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냐가 이 위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성현 전 민주노동당 대표는 “쌍용차 문제 등 노동계는 여전히 절박한 상황”이라고 강조하며 “노사문제를 현실적으로 같이 푸는 계기가 됐음 좋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