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실제로 스마트폰 제조과정에 사용되는 일부 부품의 공급처를 바꾼 것으로 알려져 향후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2일 국내외 전자업계에 따르면 중화권 최대 휴대폰 제조업체인 HTC가 애플이 시작한 삼성전자 부품 사용 줄이기에 동참하고 있다.
HTC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사용되는 CMOS(영상감응신호장치)를 미국 옴니비전(Omni Vision)과 일본 소니에서 공급받기 시작했다. 기존에는 이 부품을 삼성전자가 전량 공급했다.
또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아몰레드(AMOLED) 패널 중 일부를 대만의 AU 옵틱스(AU Optronics)가 생산하는 제품으로 교체했다. LCD 패널은 소니 제품을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HTC 측은 납품 단가 인하를 통해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HTC 중국담당 총괄인 런웨이광 사장은 최근 중국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HTC는 그동안 다수의 부품 공급업체와 합작관계를 맺어왔다”며 “삼성전자와 진행 중인 부품부문의 합작관계도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부품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기 시작했다는 일각의 주장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HTC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삼성전자를 의식해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부품 사용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HTC의 지난해 스마트폰 판매량은 4440만대였으며 올해도 비슷한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부품을 공급하지 못하면 삼성전자의 부품 판매 실적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삼성전자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몰레드 패널 등 삼성전자가 독점적 기술을 보유해 다른 업체들이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부품들이 많기 때문이다.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도 지난달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비즈니스는 감성적이 아니라 이성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이라며 애플과 HTC 등이 부품 공급선을 대거 교체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