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中 '제발 저축 좀 하지마세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1-21 16: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저축률 52%, 과도한 저축열 성장 '장애물'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의 지나치게 높은 저축률이 중국 성장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이 성장모델 전환을 위해 ‘소비장려, 내수진작’에 공을 들이고 있으나 중국 인민들이 좀처럼 돈을 쓰지않아 문제라고 관영매체인 런민르바오(人民日報)가 21일 보도했다. 중국 저축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소비자의 소비 의향이 낮음을 의미하고 결국 기업 판매 실적 부진으로 이어진다는 것.

중국 증권관리감독위원회 궈수칭(郭樹淸) 위원장도 “중국 경제의 저축과 투자의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 고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저축률은 52%으로 세계적으로 비교 대상국이 없을 만큼 높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보면 중국 저축률은 1970년대 이후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해 1990년대 초 주민 저축률이 전체 GDP의 35%에 육박, 2005년 저축률은 세계 평균인 19.7%를 훨씬 웃도는 51%를 기록했다. 2009년 중국의 총 저축규모는 18조 위안(한화 약 3218조원)을 돌파, 1인당 평균 저축 1만 위안(한화 약 174만원)시대에 들어섰다.

저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소비가 잘 이뤄지지 않고, 경기가 부진하다는 것을 뜻한다. 2011년 중국 중앙은행 설문조사에 따르면 85.8%의 응답자가 소비가 아닌 저축을 선택했다. 이는 기업경영에 있어 ‘적신호’로 생산능력제고와 투자증대에도 실적악화를 초래, 결국 중국 경기하강압력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축률이 너무 낮은 것도 문제이지만 글로벌 경기악화와 수출부진에 따라 내수형 경제로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에서 저축률 증대-소비부진이 지속되면 경기침체가 심화된다고 지적했다.

중국 사회과학원금융연구소 은행 연구실 쩡강(曾剛) 주임은 중국의 높은 저축률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아시아인의 전통적인 절약습관 △사회보장제도 미비 △소비관련 금융시장의 미성숙 등을 꼽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