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은 국제컨소시엄 협력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유전지표 15개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교수·박정의 삼성서울병원 교수·장양수 세브란스병원 교수와 함께 관상동맥유전체 연구회(GenRIC)를 결성해, 관상동맥질환의 유전지표를 찾기 위한 전장유전체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다.
연구진은 유럽인과 아시아인에서 관상동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지표 15개를 최초로 보고했다.
동시에 추가적으로 104개의 유전지표가 복합적으로 관상동맥질환에 미치는 영향력도 제시했다.
관상동맥질환 관련 유전지표는 지금까지 유럽인을 대상으로 약 30개의 유전지표가 발굴된 바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유전자 근처에 10개의 유전지표를 추가적으로 확인했다.
특히 관상동맥질환과 연관된 후보 유전자들을 통합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해, 관상동맥질환과 연결돼 있는 기전이 지질대사이며 염증기전이 유의하게 연결돼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심혈관질환에 영향을 주는 유전지표들은 향후 개인별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한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 예측·예방 및 치료 등에 활용돼, 국내 심혈관질환에 의한 발생률 및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