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아주중국> 국민은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03 11: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민병덕 행장 인터뷰

글 조용성 베이징 특파원

국민은행 민병덕 행장

민병덕 국민은행장은 지난달 21일 중국 베이징 궈마오(國貿)호텔에서 기자와 만나 “국민은행의 경쟁력을 앞세워 부유층 대상 자산관리분야 등 현지 틈새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고 밝히며 중국진출 구상을 전했다. 또한 그는 “현지은행과 업무 제휴는 물론 지분 참여나 인수합병(M&A)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그는 우선 “G2 중국은 지금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이 되고 있다”며 “국민은행은 이미 중국에 3곳의 지점을 개설하는 등 오래전부터 중국시대를 준비해 왔다”고 소개했다.

민 행장은 “국내 4대 금융지주회사 중 가장 늦게 중국에 법인을 내는 만큼 우리는 후발주자임이 분명하다”면서 “하지만 중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최단기간에 법인 설립허가를 받는 등 자산관리, 고객서비스, IT기술 등 분야의 경쟁력을 현지에서 인정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민 행장은 “국민은행이 후발주자이지만 한국계 다른 은행들의 현지화율도 현재 미미한 상태”라며 “현지화에 박차를 가해 더욱 빠른 성장을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자신했다.

중국 시장 진출전략에 대해 민 행장은 “1차적으로는 현지진출한 국내 기업을 영업대상으로 삼고 있다”며 “현지에서 어느 정도 뿌리를 내린 후에는 부유층이나 인터넷 고객층 등 틈새시장에 힘을 집중하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1위 은행인 공상은행은 직원 40만명에 점포 1만4000개를 운영하고 있다”며 “사실상 중국의 리테일시장에서 이들에 맞서 정면승부를 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고 견해를 피력했다.

중국 내 현지화 전략에 대해서 민 행장은 “중국인이 볼 때 한국 은행이 아닌 자신들의 은행으로 여겨질 정도로 현지인 중심체제로 운영할생각”이라며 “이 같은 차원에서 중국인민대학교 전 총장인 지바오청(紀寶成)을 고문으로, 인민은행 간부와 중국국가개발은행 이사를 지낸천샤오윈(陳小雲)을 이사회 의장으로 영입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국내에서 벌이고 있는 예대마진 경쟁은 이미 한계에 달했으며 마진축소는 어쩔 수 없는 추세”라며 “기업비즈니스분야나 해외영업에서의 이익창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진출은 KB금융그룹의 미래성장 동력을 위한 필수과정이며 앞으로 적극적인 현지화를 통해 중국기업이나 개인 대상 영업을 강화할 방침이라는 것. 이어 “한국인의 근면성과 순발력이라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며 “이머징마켓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남미, 유럽, 아프리카, 미주 지역 등 진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간담회에 참석한 이찬근 국민은행 부행장은 중국 진출 3단계 로드맵을 제시했다. 1단계로는 설립 후 2년 동안 영업기반을 구축한 후 2단계인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기업시장에서의 점유율 제고, 현지기업 거래 확보, 개인영업 확대. 자산 점포수 확충 등을 꼽았다. 그fl고 그는 “3단계로 2018년 이후 PB 활성화, 컨설팅형 상품 출시, 스마트금융 현지화, 현지은행 인수 등을 통해 현지 우량은행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