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6일 올해 사회적 이슈가 됐던 7대 사업에 대해 사업의 선정·추진 중에 생산된 문서 1000여 개를 모조리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시의 자발적 정보공개는 그동안 시민단체나 일반 시민들이 정보공개청구를 하더라도 내부 검토과정을 이유로 비공개했던 관행에 비춰보면 이례적인 결정이다. 특히 이번에 공개된 7대 사업은 언론의 비판 및 사회적 논란이 된 사항으로 시 입장으론 공개가 쉽지 않은 민감한 사업임에도 공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공개되는 문서 규모는 결재·보고 문서를 비롯 1090개 문서로 총 1만 2000여 페이지에 육박한다.
정보공개청구에 의한 단편적 공개와 달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결과 △안전점검 결과 △위원회 녹취록에 이르기까지 사업별 추진과정을 한 눈에 살필 수 있게 된다.
다만 정보공개법 제9조 1항에 따라 비공개 대상으로 규정된 개인정보 등은 공개 대상에서 빠진다.
문서는 시민들이 보기 편하도록 전자책(e-book) 형태로 제작해 시 인터넷 정보공개 홈페이지 '정보소통 광장(gov20.seoul.go.kr)에 6일 공개되 누구든지 손쉽게 살필 수 있다.
한편 박원순 시장 취임이후 시는 시장이 여는 정례회의 등의 주요회의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또한 95개 위원회가 진행하는 회의록도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려서 시민들이 살필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시는 주요 행정정보에 대해 미리 공개하는 정보공개 사전공표 목록 항목을 64종에서 150종으로 확대했다. 내년에는 국장결재문서, 2014년에는 과장결재문서로 확대한다.
서상민 서울시 정보공개정책과장은 "이번 사회적 관심사업의 생산문서 일체공개는 그동안 시가 추진해온 정보공개개혁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시민이 정보공개를 청구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행정정보는 시민이 공유해야할 공공자산'이란 시각에서 미리 적극적으로 최대한 공개해 '투명시정, 소통행정'의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 |
서울시는 6일 올해 사회적 이슈가 됐던 7대 사업에 대해 사업의 선정·추진 중에 생산된 문서 1000여 개를 모조리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