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기자수첩> 18대 대선, 과거 아닌 미래를 원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12 08: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대선이 8일 남았다. 2012년 국민은 5년 뒤를 내다보고 투표하려 한다. 과거 정권 심판이든, 미래 비전 투표든 국민은 현명한 선택을 한다.

우선 과거 심판론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나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나 자유로울 수 없다. 노무현 정부 시절 지금과 비교할 때 세금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의 2배에 달했고, 청년 일자리는 53만개가 사라졌다. 당시 부동산 가격은 35% 폭등하기도 했다. 이 같은 경제 파탄으로 노무현 정부는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받고 권력에서 멀어졌다.

그렇다면 이명박 정부는 어떨까. 5년간 현 정부의 경제성장률은 2%, 최저임금성장률 5%, 국가채무비율 32.9%가 증가했다. 반면 노무현 정부는 4.3% 경제성장을 했고, 최저임금인상률은 10.1%, 국가채무비율은 27.3% 늘었다. 현 정부보다 양호한 경제성적표를 받은 것이다. 민생 파탄의 책임은 이명박 정부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정권 심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경제적 악영향이 노무현 정부 때부터 온 것이었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과거의 공·과만 따져서는 승패가 결정 안 된다. 국민들은 박 후보나 문 후보 다 과거 정권에서 실패한 인사로 치부할 수 있다. 경제 살리기나 민생에 관해선 둘 다 '도토리 키재기'란 지적이다.

이제 미래다. 과거에 어떤 정파에 몸 담았는지, 과거 어떤 일에 책임이 있었는지 국민들은 별로 관심이 없다. 앞으로 5년간 나아가 20여년간 잠재성장률이 1%대로 떨어지는 한국 경제를 어떻게 관리해줄지에 국민들은 관심이 있다.

순환출자를 반드시 3년 내 해소해야 경제민주화가 완성된다는 문 후보의 논리도, 기존 순환출자를 방치한 채 오너리스크를 엄단하겠다는 박 후보의 주장도 다 허망하다. 국민의 피부에 와닿는 공약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바란다. 박 후보의 '준비된 여성대통령'이 아니다. 문 후보의 '새시대를 여는 첫 대통령'이 아니다. 자신이 살기 위해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를 구걸하는 것이 아니라, 소중한 한 표를 받아 무한책임을 지는 대통령을 국민은 원하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