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4일 “과거보다 세계 경제가 미국과 유로존, 중국 경제에 더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김 총재는 경제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동향간담회’를 열고, 지난 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렸던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참석했던 것을 언급하면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김 총재는 “과거에도 그랬지만 갈수록 더 한 것이, 각국에서 정책을 얘기할 때 내부보다는 미국 경제와 유로경제, 중국경제를 먼저 말한다”면서 “서로 간 경제의 연관성이 높아져서 그런 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경제에 대해 그는 “미국이 언제 어떻게 하겠다는 식의 날짜 중심 정책(Calendar date based)에서 정보 중심 정책(Data dependent)으로 바꾸고 있다”면서 “이는 실업률이 하락하지 않으면 반대로 할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양적완화 종료 시점으로 실업률 7%를 언급한 바 있다.
김 총재는 “(미국 경제가)정해져있는 코스대로 가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버냉키 의장의 발언이)상황을 더 확실하게 만든건지 불확실하게 만든 건지는 좀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유로존 상황에 대해서 김 총재는 “성장은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지만 상황 자체는 고무되고 있다”면서 “테일 리스크(꼬리 위험·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치명적인 위험)는 많이 사라졌다”고 평가했다. 중국 경제 역시 리커창 총리가 성장률 목표의 최저 마지노선으로 7%를 제시한 것 등을 꼽으며 시장을 잘 안정시키고 있다고 봤다.
그는 “위기 극복과정에서 더 글로벌화가 된 것 같다”면서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서 각국이 균형을 찾아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향후 대내외 경제상황과 관련해 "세계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우리 경제의 성장경로에는 아베노믹스 지속가능 여부,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등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 참석자는 "수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소비, 투자 등 내수 부문에 대해 장기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우리 경제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으며 "고용률 제고를 위해 청년 및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아울러 재정에 대해 복지수요 확대에 따른 세원 확보, 재정건전성 유지 등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박상규 대한건설협회 상근부회장, 옥동석 한국조세재정연구원장, 윤 택 서울대학교 교수, 정철균 한국고용정보원장, 함준호 연세대학교 교수가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