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아리랑 5호의 발사 준비를 정상적으로 끝내고 한국시각 22일 오후 11시 39분경(현지 시각 오후 8시 39분 경)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리랑 5호는 지난달 11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 안전하게 도착한 후 발사 리허설까지 순조롭게 진행을 마치고 현재 드네프르 로켓에 탑재돼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현지시간)에 열린 발사관리단 발사준비 종합점검회의에서는 발사 준비상황 및 현지 기상조건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고 발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리랑 5호는 발사 후 5년간 550km 상공에서 국내 최초로 영상레이더(SAR)를 사용해 공공안전, 재해재난, 국토.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 활용될 고해상도 레이더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아리랑 5호는 발사 15분 후 로켓과 최종 분리되고 32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할 예정으로 발사 5시간 56분 후(한국시각 23일 오전 5시 36분) 대전 항우연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할 예정이다.
남극의 트롤 지상국과의 교신 시에는 위치 추적이 용이하지 않아 위성의 궤도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항우연의 위성정보활용협력센터와 23일 오전 5시 36분 경(한국시각)부터 교신을 할 예정이다.
오전 6시 30분 경(한국시각)에는 위성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최종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래부는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발사관리단을 현지에 파견해 발사준비 상황을 종합점검하고 있다.
발사장에는 항우연, 참여기관 등 기술진 20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아리랑 5호 개발사업은 미래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8년간 공동으로 추진한 것으로 항우연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 두원중공업, 한화 등 다수의 국내기업이 참여해 개발했다.
![]() |
아리랑 5호가 지난달 발사체 페어링에 실린 모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